
최근 광명 아파트값이 상승세를 타기 시작하면서 광명 3구역 통합재개발 추진방법에 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광명3구역 통합 민간개발추진준비위원회(위원장 김의수, 이하 민간 추진위)는 9월 15일 주민 3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2차 사업설명회 및 제4차 추진준비위원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설명회는 민간재개발로 사업을 추진할 때 사업 절차에 대한 설명과 재개발 사업에 관련 전문가들이 사업 방향과 문제 해결에 대한 설명도 같이 이루어졌다.

김의수 민간 추진위원장은 “민간재개발을 원하는 주민들의 도움으로 2년 동안 ‘정비계획 입안에 관한 동의서’ 82.9%와 ‘공공재개발 반대 동의서’ 72% 이상을 받았다”며 주민들에게 고마움을 표했다.
김 위원장은 “광명 3구역 통합 지역이 공공재개발 후보지만 선정되었을 뿐 진행 절차가 하나도 없고, LH에 접수했다는 공공재개발 추진 동의서 50.1%는 확인되지 않은 서류”라고 말했다.
또한, “공공재개발 추진준비위원회 구성 동의서’에 서명하신 주민 20% 이상이 철회(취소)를 했기에 공공재개발 추진위가 50% 추진위 동의서를 받았다 해도 30%대로 동의율이 떨어져서 결국 공공재개발은 실패로 끝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날 설명회 자리에 참석한 A 주민은 “공공재개발 추진으로 2~3년 허송세월 보내다가 좌절되어 민간으로 추진할 경우 주민들 분담금만 더 늘어나 결국 피해는 주민이 보기에 하루라도 빨리 민간재개발로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성토했다.
한편, 광명지역 부동산 업계에서는 현재 광명처럼 아파트 가격이 상승하는 지역이 드물고, 꾸준히 가격을 상승할 전망이라서 광명에서 가장 핫하고 초역세권 지역인 ‘광명 3구역 통합’ 지역 주민들은 공공재개발보다 민간재개발로 인해 재산가치를 최대한 끌어올리고 싶은 심리가 강하다며, 재개발 무게의 추가 민간재발 쪽으로 기울어 가고 있다고 조심스럽게 전망하고 있다.
민간측에서 주장하는 20%의 철회서의 정체가 궁금하네요.
과연 법적 요건을 갖춰서 효력이 있는 철회서를 받았을까요?
결과는 12월 초까지는 알 수 있겠죠.
공공재개발 준비위와 LH의 MOU 협약체결이 되고 나면 그동안 민간이 주장한 모든 허구가 들통나게 될 것 같습니다.